EPS란 — 기업의 ‘실제 이익’을 한눈에 보여주는 지표
1. EPS(주당순이익)의 기본 개념
EPS(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이란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을 발행된 주식 1주당으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즉, 한 주가 실제로 얼마만큼의 이익을 창출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기업 수익성의 핵심 지표입니다.
➡ 쉽게 말해, EPS가 높을수록 기업이 실제로 돈을 잘 벌고 있다는 뜻입니다.
2. EPS 계산 공식 및 예시
항목 | 의미 | 예시 계산 |
순이익 | 기업이 벌어들인 총이익 | 1,000억 원 |
발행주식수 | 전체 주식 수 | 1억 주 |
EPS | 순이익 ÷ 발행주식수 | 1,000억 ÷ 1억 = 1,000원 |
➡ 이 경우, EPS = 1,000원 이며,
이는 해당 기업이 주당 1,000원의 이익을 내고 있다는 뜻입니다.
3. EPS가 의미하는 투자 해석
- EPS 상승 → 기업의 수익성 개선, 주가 상승 가능성↑
- EPS 하락 → 이익 감소 또는 비용 증가, 주가 하락 가능성↑
- EPS가 꾸준히 상승하는 기업 = 안정적인 성장 기업
- EPS가 급변하는 기업 = 경영 불안정성 또는 일회성 요인 존재
꿈 해몽 풀이 바로가기
꿈 해몽 풀이 바로가기 – 상황별 30가지 대표 해석 총정리1. 물 꿈 해몽맑은 물에 빠지는 꿈맑은 물은 정화와 재물운을 의미합니다. 깨끗한 강이나 바다에 빠지는 꿈은 새로운 기회와 건강 운 상
3.naverkurly.com
4. EPS와 PER의 관계 도표
구분 | PER | EPS | 관계 |
공식 | 주가 ÷ EPS | 순이익 ÷ 주식수 | PER = 주가 ÷ EPS |
EPS 상승 시 | PER 하락 → 저평가 가능성 | ||
EPS 하락 시 | PER 상승 → 고평가 가능성 | ||
투자 판단 | EPS 증가 + PER 하락 = 매수 시그널 |
→ EPS가 높아질수록 PER이 낮아지고, 이는 주가가 싸게 평가될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5. EPS의 종류 (기본EPS vs 희석EPS)
구분 | 의미 | 특징 |
기본 EPS | 현재 발행된 주식 기준 계산 | 일반적인 EPS |
희석 EPS | 주식매수선택권, 전환사채 등을 포함 | 실제보다 낮게 계산됨 (보수적 평가) |
➡ 투자분석 시에는 희석 EPS를 참고하는 것이 더 현실적입니다.
(기업이 향후 신주를 발행하면 기존 주주의 이익이 희석되기 때문입니다.)
6. EPS 상승의 원인
- 매출 증가 (본업 성장)
- 비용 절감 및 원가 효율화
- 자사주 매입(발행주식수 감소)
- 환율 이익, 일회성 수익 반영
- 고수익 신규 사업 진출
7. EPS 하락의 원인
- 영업이익 감소
- 부채 증가 및 이자비용 확대
- 환손실, 일회성 비용 발생
- 신주 발행으로 주식 수 증가 (희석효과)
- 경기 침체 또는 시장 점유율 하락
현물 ETF란?
현물 ETF란 무엇인가? (2025년 완벽 가이드)1. 현물 ETF란?**현물 ETF(Exchange Traded Fund)**는 실제 자산(금, 비트코인, 원유, 농산물 등)을 직접 보유하거나 이에 연동된 가격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를
1.issuekurly.co.kr
8. 해외 주요 기업 EPS 비교 도표
기업명 | EPS(2025년 예상치) | 변화율(전년대비) | 특징 |
애플(Apple) | $6.75 | +7% | 안정적 실적 성장 |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 $11.20 | +9% | 클라우드 수익 확대 |
테슬라(Tesla) | $3.10 | -15% | 가격 인하 정책으로 수익성 감소 |
삼성전자 | 6,800원 | +12% | 반도체 회복세 |
현대자동차 | 10,200원 | +8% | 해외 판매 호조 |
➡ EPS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기업의 실적 체력과 미래 성장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9. EPS 투자 활용 전략
- EPS가 꾸준히 상승하는 기업 = 장기 보유 유망
- EPS 급등 종목 = 실적 호조 혹은 일회성 요인 분석 필요
- EPS 성장률(GEPS) 이 높은 기업 = 성장주로 분류
- PER과 함께 분석 → EPS 증가 + PER 하락 시 매수 타이밍
비상금대출 신청 및 연장 - 카카오뱅크, 토스, KB
간편하지만 강력한 ‘비상금대출’의 모든 것소득 증빙 없이 1금융권에서 최대 300만 원까지 모바일로 즉시 이용 가능한 비상금대출! 신청 방법부터 금리인하권, 만기 연장·거절 대처법까지 꼼
your.issuekurly.co.kr
10. 자주 묻는 질문 (FAQ)
Q1. EPS가 높으면 무조건 좋은가요?
A1. 그렇지 않습니다. 일회성 요인(부동산 매각, 환차익 등)으로 인한 상승일 수도 있습니다.
Q2. EPS가 마이너스면 무슨 뜻인가요?
A2. 적자 기업으로, 이익이 없거나 손실을 기록했다는 뜻입니다.
Q3. EPS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A3. 네이버금융, 증권사 HTS/MTS, 기업 IR자료, 전자공시(DART)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Q4. EPS와 PER의 관계는 무엇인가요?
A4. PER = 주가 ÷ EPS, 즉 EPS가 높을수록 PER이 낮아져 저평가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Q5. EPS가 오르는데 주가가 안 오르는 이유는요?
A5. 시장이 이미 실적 개선을 선반영했거나, 경기 둔화로 미래 전망이 불확실할 때입니다.
Q6. EPS가 급락했는데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도 있나요?
A6. 있습니다. 향후 실적 개선 기대감이나 대형 프로젝트 수주 등 미래 기대 반영 시 발생합니다.
Q7. EPS 성장률이란 무엇인가요?
A7. 전년 대비 EPS 상승률로, 기업의 연간 성장 속도를 나타냅니다.
Q8. EPS가 꾸준히 증가하는 기업은 어떤 특징이 있나요?
A8. 매출 안정성, 비용 효율성, 브랜드 파워, ROE 높은 기업이 대부분입니다.
11. 결론 및 요약
EPS(주당순이익)는 기업이 실제로 돈을 얼마나 잘 벌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기본 수익성 지표입니다.
PER, PBR과 함께 분석하면 기업의 가치평가가 훨씬 명확해집니다.
핵심 요약:
- EPS = 순이익 ÷ 발행주식수
- EPS 상승 = 수익성 개선, EPS 하락 = 실적 악화
- PER과의 관계: PER = 주가 ÷ EPS
- 희석EPS 확인 중요 (신주발행, 스톡옵션 반영)
- EPS 꾸준히 상승하는 기업 = 장기 우량주 신호